교육부, 학력미달 203만명에 ‘방과후 보충수업’으로 응급처방 나선다
교육부, 학력미달 203만명에 ‘방과후 보충수업’으로 응급처방 나선다
  • 서다은 기자
  • 승인 2021.07.29 11: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합대책 중 학습결손 등 진단에 따른 맞춤 지원(예시) ⓒ교육부 제공
종합대책 중 학습결손 등 진단에 따른 맞춤 지원(예시) ⓒ교육부 제공

교육부와 교육청이 기초학력 저하 등 학습 결손을 해소하기 위해 2022년까지 5700억원을 투입해 교과 보충수업 등을 운영한다. 지난 6월 발표된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수학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중학교 13.4%, 고등학교 13.5%로 역대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되며 학력 저하 우려가 커지자 교육 당국이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29일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교육회복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에 따르면, 오는 2학기부터 학력격차 완화를 위한 교과 보충수업이 시행된다. ‘학습 도움닫기’로 명명한 이 프로그램은 교과학습에 결손이 있거나 보충 수업을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3~5명 규모로 구성된다. 교사가 방과후 또는 방학 중 학생들을 집중 지도하는 수업으로 운영될 방침이다. 교육부는 “내년까지 총 5700억원을 투입해 올해 2학기에 69만명, 2022년 109만명 학생들이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산한다”고 밝혔다.

이와는 별도로 교대·사범대생 등 예비교원과 전문강사들이 학습을 돕는 ‘튜터링’ 프로그램은 내년에 약 24만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또 고교 수석교사들이 올해 하반기 학생 약 1만명에게 일대일 맞춤형 학습 컨설팅을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2명의 교사나 강사를 배치하는 1수업 2교사 형태의 초등 협력수업은 올해 1700개교에서 2022년 2200개교로 확대 운영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교육계에서는 정부의 이번 대책이 추락한 학력을 끌어올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 보충 수업 인력 확보, 참여 학생 선정, 달성 목표 등도 불명확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국교총은 이날 “학생들의 학습 결손이 이미 심각해졌는데 이제야 사후약방문식 대책이 나왔다는 점에서 만시지탄”이라며 “먼저 국가 차원의 학력 진단을 실시하고 맞춤형 학습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교총은 “교과보충이든 학력격차 완화든 개별 학생의 객관적인 학력 진단이 바탕이 돼야 한다”며 “학력진단을 교육청별, 학교별, 교사별로 들쭉날쭉하게 시행하면 ‘깜깜이’ 학력을 벗어날 수 없고, 학부모가 신뢰할 학력 데이터가 없어 방과후 교과보충이나 가정과 연계한 협력 학습도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