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4명 임종 하루 전까지 연명치료 받아”
“10명 중 4명 임종 하루 전까지 연명치료 받아”
  • 이주근 기자
  • 승인 2022.07.18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종 전 24시간 응급실 중증치료 비율 39.6%
“사전돌봄계획·응급실 돌봄 적절성 논의 필요”
연명의료 법정 서식 작성 현황 ⓒ서울대병원 제공
연명의료 법정 서식 작성 현황 ⓒ서울대병원 제공

최근 3년간 서울대병원 응급실에서 질병으로 사망한 성인 환자 10명 중 4명은 임종 전 24시간 동안 응급실에서 인공호흡기 삽관이나 심폐소생술 같은 연명 치료 등 중증 치료를 받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임종 전 24시간 동안 마약성 진통제 등 편안한 증상 조절을 받은 환자는 10명 중 3명에 불과했다.

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세종충남대병원 김정선 교수팀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대병원 응급실에서 질병으로 사망한 성인 환자 222명을 대상으로 ‘생애 말기 의료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18일 이같이 발표했다.

연구팀이 응급실에서의 임종 현황에 대한 통계 결과를 분석한 결과, 많은 만성 중증질환자들이 임종이 임박한 순간 찾은 응급실에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임종 전 24시간 동안 응급실에서 중증치료를 받는 비율은 39.6%였다. 중증 치료는 ▲인공호흡기 치료(36.0%) ▲심폐소생술(27.5%) ▲혈액 투석·체외막산소요법(각 0.5%) 등이었다. 특히 중증 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는 혈액검사(92.3%)와 승압제 투여(62.6%)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돌봄 계획 및 응급실에서의 임종 돌봄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은 국내 상황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반면 임종 전 24시간 동안 마약성 진통제 등 편안한 증상 조절을 받은 환자는 31.5%에 불과했다.

또 사전 돌봄 계획 논의 여부를 살펴본 결과 응급실 내원 전에는 21.2%(47명), 내원 후에는 67.6%(150명)로 사전 돌봄 계획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통해 사망 전 본인의 의사를 밝힌 환자는 27.0%(60명)로 확인됐다.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한 환자들은 미작성 환자에 비해 응급실에서 중증 치료보다는 편안한 증상 조절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하지 않고 사망하는 환자의 비율은 2018년 90.2%, 2019년 53.5%, 2020년 27.6%로 해마다 감소해 연명의료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암 환자와 비암환자로 나눠 연명의료 법정 서식 작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도 주목했다.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한 비율은 암 환자 72.5%, 비암환자 27.5%였다. 응급실 내원 전 사전 돌봄 계획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 비율도 암 환자 28.4%, 비암환자 8.6%로 암환자가 비암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만성 중증질환자의 경우 이른 시기부터 적극적인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연계를 통해 응급실보다 질이 좋은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장소에서 임종하도록 하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유신혜 교수(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는 “연명의료 결정법 정착 이후 지난 3년간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환자가 응급실에서 임종 전 편안함을 위한 증상 조절을 받지 못하고 임종한다”며 “응급실 임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불필요한 검사 및 처치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BMC 팰리에이티브 케어(BMC Palliative Care)’ 최근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