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자리 85만개 늘었지만, 절반은 60세 이상… 30대 일자리 감소
지난해 일자리 85만개 늘었지만, 절반은 60세 이상… 30대 일자리 감소
  • 서다은 기자
  • 승인 2022.12.08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숙박·음식점업 여전히 위축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문재인 정부 시절이던 2021년 국내 일자리가 1년 전과 비교해 85만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늘어난 일자리의 절반 이상은 60세 이상 고령층의 일자리였다. 반면 한창 일해야 할 30대 일자리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 중에서는 숙박·음식점업 일자리가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2020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했다.

통계청은 8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1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일자리는 2558만개로 전년 대비 85만개(3.5%) 늘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전체 일자리 중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5만개(81.9%), 비임금근로 일자리는 463만개(18.1%)로 전년 대비 각각 71만개(3.5%)·14만개(3.2%) 증가했다.

지속 일자리는 1933만개(75.6%), 기업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338만개(13.2%),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287만개(11.2%)로 집계됐다. 지난해 기업 소멸이나 사업 축소로 없어진 소멸 일자리는 252만개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 일자리가 47만개(11.9%)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전체 일자리 증가분의 절반 이상인 55.3%가 60세 이상 노인을 위한 자리였다. 50대 일자리는 23만개(3.8%), 40대는 10만개(1.6%), 20대는 6만개(1.9%) 늘었다. 반면 19세 이하와 30대 일자리는 각각 1만개(-3.7%), 1000개(-0.02%) 감소했다. 20~30대 청년층 일자리만 따로 보면 전년 대비 5만9000개 늘어나는데 그쳤다.

전체 일자리 점유율은 40대가 621만개(24.3%)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50대 609만개(23.8%), 30대 523만개(20.4%) 등이 이었다.

근로자 평균 연령은 46.4세로 1년 전(46.0세)보다 0.4세 올라갔다. 성별로 보면 지난해 전체 일자리 중 남성은 1457만개(57.0%)로 여성(1100만개, 43.0%)보다 1.3배 많았다.

근속기간별로는 1~2년 미만 일자리가 528만개(20.6%)로 가장 많았다. 1년 미만(18.8%), 3~5년 미만(16.3%), 5~10년 미만(15.0%), 2~3년 미만(14.1%) 등이 뒤를 따랐다. 근속기간 10~20년 미만 일자리는 10.0%, 20년 이상 일자리는 5.2%로 집계됐다. 전체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은 5.3년이었다.

대기업 일자리는 17만개, 중소기업은 49만개, 비영리기업은 19만개 늘었다. 또 신규 일자리(338만개)의 78.1%에 해당하는 264만개는 중소기업에서 나왔다. 전체 일자리 중에서도 중소기업 일자리가 1588만개(62.1%)로 가장 많았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300명 이상에서 36만개, 50명 미만에서 33만개 등 모든 종사자 규모에서 일자리가 늘었다. 제조업 일자리가 498만개(19.5%)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 320만개(12.5%), 보건·사회복지 241만개(9.4%), 건설업 209만개(8.2%) 등의 순이었다. 소멸 일자리 중에선 제조업(42만명, 16.8%), 도소매(42만명, 16.6%)의 비중이 큰 편이었다.

반면 숙박·음식점업 일자리는 1만개 줄어 2020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대표적 대면 서비스 업종인 숙박·음식점 업황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