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화학상에 여성학자 2명 수상…"유전병 치료에 큰 기여"
노벨 화학상에 여성학자 2명 수상…"유전병 치료에 큰 기여"
  • 이루리 기자
  • 승인 2020.10.07 2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전자 가위'佛샤르팡티에·美두드나…여성 공동수상은 최초
2020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사진=노벨상 홈페이지)
2020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사진=노벨상 홈페이지 제공)

올해 노벨 화학상은 유전자 가위를 발견하고 유전자 편집 연구에 기여한 여성 연구자 2명에게 돌아갔다. 여성 연구자들이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 시각) 202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프랑스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미국의 제니퍼 두드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두 수상자가 발견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기초 과학 분야의 혁명을 일으켰을뿐 아니라 의료 분야에 혁신을 일으켰다”고 평가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특정 DNA만 골라 잘라내는 분자 기계다. 크리스토퍼 가위는 DNA 염기서열 중 특정 위치를 인지하고 선택하는 ‘크리스퍼(CRISPR)’와 이 위치를 자르는 효소 ‘카스9(Cas-9)’으로 구성된다.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는 2011년 처음 유전자 가위 개념을 발견했다. 이후 RNA의 대가인 제니퍼 두드나 교수와 함께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학계에서는 유전병 등 다영한 질병들을 치료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로 평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김진수 연구단장이 관련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인정받는다.

김학중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초창기부터 두 분이 공동 연구를 했으며, 이 기술은 일반 실험실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면서 "이전 방식은 유전자 조작함에 있어서 오래걸렸는데 이 기술이 개발되고 확산되면서 굉장히 빨라지고 쉬워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기술을 이용하면 현재 특정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한 스크리닝과 약물로 치료하기 어려운 유전자 치료용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자칫 생리의학상 분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의문에 대해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90년대 말까지는 합성, 이론 등 화학냄새가 물씬나는 업적이 주로 노벨상을 수상했는데 2000년대부터는 정통적인 화학분야 업적보다 생명과학과 관련된 업적이 많이 들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 20년동안 화학업정 중에 3분의1는 DNA와 관련된 직접 연구이고 다른 3분의 1은 미세구조를 눈으로 관찰하는 현미경과 관련, 나머지는 정통화학 부문이었다"면서 "이는 화학의 영역이 굉장히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학물질을 만드는걸 넘어서서 생명과학, 바이오까지 화학영역으로 분류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노벨 화학상 상금은 1000만스웨덴크로나(약 13억원)로 두 수상자가 나눠 갖는다. 노벨위원회는 8일 문학상, 9일 평화상, 12일 경제학상 순으로 수상자를 발표한다.

한편 올해 노벨 화학상 유력 후보로 관심을 모았던 현택환 IBS(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장(서울대 석좌교수)은 아쉽게 고배를 마셨다. 앞서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지난달 현 교수를 국내 과학자 가운데 유일하게 노벨상 후보로 선정한 바 있다.

현 교수의 선배인 이덕환 교수는 "현 교수가 상을 받지 않았다고 아쉬워할 이유 없다. 클래리베이트 후보 명단에 들어간 그 해에 노벨상을 받은 사람이 한명도 없다"면서 "나노화학 분야가 굉장히 뜨거운 주제이기 때문에 아직 살아있는 후보다"라고 밝혔다.